쿠버네티스 312

📌 [ReplicaSet 심화편 #9] ReplicaSet과 Node Selector: 특정 노드에 Pod 배포 전략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은 기본적으로 리소스가 충분한 노드에 자동으로 Pod를 배치합니다.하지만 특정 노드에서만 실행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을 경우, Node Selector를 사용하여 원하는 노드에서만 Pod가 배포되도록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Taints & Tolerations과 다르게, 특정 노드에서만 실행되도록 강제하는 방식으로 활용됩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Node Selector를 활용한 특정 노드 배포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Node Selector란? Node Selector는 특정 노드에서만 Pod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방법입니다. • 노드에 특정 라벨을 부여한 후, 해당 라벨을 가진 노드에서만 실행되도록 Pod를 제..

📌 [ReplicaSet 심화편 #8] ReplicaSet과 Taints & Tolerations: 특정 노드에 Pod 배포 제어

1️⃣ 개요 ReplicaSet은 기본적으로 리소스가 충분한 노드에 자동으로 Pod를 배치하지만, 특정 노드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만 실행되도록 제어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고성능 GPU가 장착된 노드에서만 특정 워크로드를 실행하거나, 일반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노드에서 실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포 전략을 적용하려면 Taints & Tolerations을 활용하면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Taints & Tolerations을 활용한 노드 제어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Taints & Tolerations란? ✅ 1. Taints (노드에 적용하는 제한 정책) • 특정 노드에서 일반적인 Pod가 실행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 ..

📌 [ReplicaSet 심화편 #7] ReplicaSet과 Anti-Affinity: 특정 노드 간 분산 배포 전략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은 기본적으로 리소스가 충분한 노드에 자동으로 Pod를 배치합니다.그러나 모든 Pod가 특정 노드에 집중되면, 해당 노드가 장애를 일으킬 경우 서비스 전체가 중단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od 간 분산 배포(Anti-Affinity) 전략을 활용하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Pod가 서로 다른 노드에 배포되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Anti-Affinity를 활용한 분산 배포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Anti-Affinity란? ✅ Affinity vs Anti-Affinity 쿠버네티스에서는 Pod 배치 정책을 정의하는 Affinity(선호 배치) 및 Anti-Affinity(분산 배치) 기능을 제공..

📌 [ReplicaSet 심화편 #6] ReplicaSet과 Cluster Autoscaler: 노드 자동 확장과 리소스 최적화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은 Pod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지만, 클러스터의 리소스가 부족하면 새로운 Pod를 실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ReplicaSet이 5개의 Pod를 실행하려 해도 노드의 CPU나 메모리가 부족하면 일부 Pod가 Pending 상태로 멈추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luster Autoscaler를 활용하면 자동으로 노드를 확장하여 Pod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Cluster Autoscaler를 활용하여 리소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2️⃣ Cluster Autoscaler란? ✅ Cluster Autoscaler의 역할 Cluster Autos..

📌 [ReplicaSet 심화편 #5] ReplicaSet과 RollingUpdate 전략을 활용한 배포 관리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동안 새로운 버전으로 배포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하지만 Pod를 한 번에 전부 삭제하고 새롭게 생성하면 서비스 단절(다운타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olling Update(롤링 업데이트) 전략을 사용하면, 기존 Pod를 점진적으로 교체하면서 무중단 배포가 가능합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Deployment의 Rolling Update 전략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2️⃣ Rolling Update란? ✅ Rolling Update의 개념 • 기존 Pod를 점진적으로 새로운 버전의 Pod로 교체 • 한 번에 일부 Pod만 교체하고, 새로운 Pod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나머지를 교체 •..

📌 [ReplicaSet 심화편 #4] ReplicaSet과 PodDisruptionBudget(PDB)을 활용한 안정적인 운영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은 Pod의 개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운영 환경에서는 노드 업데이트, 유지보수,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Pod가 예기치 않게 종료될 수 있습니다. 이때 모든 Pod가 동시에 종료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PodDisruptionBudget(PDB)**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PDB를 함께 사용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2️⃣ PodDisruptionBudget(PDB) 개념 PDB는 특정 서비스의 Pod 개수가 일정 개수 이하로 줄어들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입니다.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처럼 항상 2개 이상의 Pod가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

📌 [ReplicaSet 심화편 #3] ReplicaSet과 HorizontalPodAutoscaler(HPA)를 활용한 자동 확장

1️⃣ 개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트래픽이 증가하면 Pod 개수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서비스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plicaSet은 Pod의 개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트래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Pod 개수를 조절할 수는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HorizontalPodAutoscaler(HPA) 를 활용하면 CPU 또는 메모리 사용량을 기준으로 **자동 확장(Auto Scaling)**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HPA를 활용하여 Pod 개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2️⃣ ReplicaSet과 HPA의 차이 ReplicaSet과 HPA는 Pod의 개수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지만, 동작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 ReplicaS..

📌 [ReplicaSet 심화편 #2] ReplicaSet의 동작 원리와 트러블슈팅

1️⃣ 개요 ReplicaSet은 쿠버네티스에서 Pod의 개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입니다.일반적으로 Deployment 내부에서 사용되지만, 단독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ReplicaSet이 Pod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거나, 예상과 다르게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2️⃣ ReplicaSet의 동작 원리 ReplicaSet은 선언적 방식으로 Pod 개수를 유지합니다.사용자가 특정 개수(replicas)를 설정하면, 쿠버네티스 컨트롤러가 현재 실행 중인 Pod 개수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부족하면 생성하고 초과하면 삭제합니다. 📌 ReplicaSet의 주요 동작..

📌 [ReplicaSet 심화편 #1] ReplicaSet의 역할과 활용 방법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RS)**는 Pod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ReplicaSet을 활용하면 특정 수의 Pod가 항상 실행되도록 보장할 수 있으며, Pod가 예기치 않게 종료되더라도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Deployment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ReplicaSet 자체만으로도 특정 워크로드를 관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의 핵심 개념과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2️⃣ ReplicaSet의 역할과 기본 개념 ReplicaSet은 특정 개수의 Pod를 유지하는 컨트롤러입니다.ReplicaSet을 사용하면 특정 Pod 개수를 보장하고, Pod가 사라지거나 종료되었을 때 자동으로 새로운 Pod를 생성할..

📌 [Pod 심화편 #6] Pod 트러블슈팅: 자주 발생하는 문제들

1️⃣ 개요 쿠버네티스를 운영하다 보면 Pod가 실행되지 않거나, 예기치 않은 오류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을 자주 겪게 됩니다.이런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려면 Pod의 동작 원리와 장애 발생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트러블슈팅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주 발생하는 Pod 문제 유형을 정리하고, 각각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표로 정리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2️⃣ Pod 트러블슈팅 주요 유형과 해결 방법 아래는 실무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Pod 관련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정리한 표입니다. 📌 Pod 문제 유형 및 해결 방법 정리문제 유형증상원인해결 방법Pod이 Pending 상태에서 멈춤kubectl get pod 실행 시 Pending 상태 유지-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