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 의존성 2

[Airflow 가이드 ep.7] 2부 DAG 작성 #2 | Task 간 의존성 설정과 트리거 규칙

이 글에서는 Airflow에서 Task 간 의존성을 설정하는 다양한 방법과 트리거 규칙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위한 다양한 의존성 패턴과 조건부 실행 방법을 실제 코드 예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기본 의존성 설정 방법✅ 비트시프트 연산자 (>>, Airflow에서 Task 간 의존성을 설정하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은 비트시프트 연산자(>>,  # 비트시프트 연산자를 사용한 기본 의존성 설정# 필요한 모듈 임포트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timedelta # 날짜/시간 처리를 위한 모듈from airflow import DAG # DAG 객체 임포트from airflow.operators.bash import BashOperator # Bash ..

[Airflow 가이드 ep.2] 1부 개념과 설정 #2 | DAG란 무엇인가? DAG 구조와 트리거 방식 이해

이 글에서는 Airflow의 핵심 개념인 DAG(Directed Acyclic Graph)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DAG의 기본 구조부터 트리거 방식까지, 실제 코드 예제와 함께 DAG의 모든 것을 살펴보겠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합니다.📌 DAG의 개념과 중요성✅ DAG란 무엇인가?DAG(Directed Acyclic Graph)는 Airflow에서 워크플로를 정의하는 핵심 개념입니다. 쉽게 말해, DAG는 실행해야 할 작업들과 그 작업들 간의 의존성을 표현하는 방향성 있는 비순환 그래프입니다.방향성(Directed): 각 작업(Task)은 특정 방향으로 연결됩니다. A → B는 "A 작업이 완료된 후 B 작업이 실행된다"는 의미입니다.비순환(Acyclic): 그래프 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