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ing 12

[Ep.45] [Argo CD 실무 적용 #3] Argo CD를 활용한 Kubernetes 클러스터 자체 관리(Self-managed Cluster)

🔹 Kubernetes 클러스터 자체 관리(Self-managed Cluster)란?일반적으로 Argo CD는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데 사용되지만,이를 확장하여 Kubernetes 클러스터 자체를 Argo CD로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즉,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RBAC, 인프라 리소스, CRD(Custom Resource Definition) 등을 GitOps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 Kubernetes 클러스터 자체 관리(Self-managed Cluster)의 장점 ✔ GitOps 방식으로 클러스터 구성을 코드로 관리 가능✔ 클러스터 설정 변경 사항을 자동 동기화 및 복구 가능✔ 운영자가 직접 개입하지 않아도 인프라 구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다중 클러스터 환경에서 일관된 설정 적용 가능?..

[Ep.37] [Argo CD 운영 최적화 #7] Argo CD의 네트워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 최적화

🔹 Kubernetes에서 네트워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의 중요성Kubernetes 환경에서는 서비스 간의 통신이 필수적이며,올바른 네트워크 정책과 서비스 디스커버리 구성을 통해 안정적인 배포 및 운영이 가능합니다. ✅ 네트워크 및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최적화해야 하는 이유✔ Pod 간 안정적인 통신 보장✔ 외부 트래픽을 안전하게 관리✔ 서비스 메쉬(Service Mesh)와 연계하여 트래픽 제어✔ Argo CD와 연동하여 배포 시 네트워크 정책 자동 적용🔹 1. Kubernetes 네트워크 정책과 Argo CD 연동📌 네트워크 정책(NetworkPolicy)이 필요한 이유기본적으로 Kubernetes 클러스터 내 모든 Pod는 서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보안을 강화하고 네트워크 격리를 위해 ..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High Level #1] 멀티 클러스터 간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및 보안 설정

쿠버네티스에서 멀티 클러스터 환경을 운영할 때, 클러스터 간 트래픽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보안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 글에서는 멀티 클러스터 환경에서 서비스 간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안 정책을 적용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멀티 클러스터 간 서비스 통신을 위한 Istio Multi-Cluster 설정 2. 네트워크 정책(NetworkPolicy)을 활용한 클러스터 간 보안 강화 3. kubectl 및 네트워크 모니터링 도구를 활용한 트러블슈팅 및 성능 최적화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멀티 클러스터 간 서비스 통신을 위한 Istio Multi-Cluster 설정 ❓ 문제 상황 운영..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Medium Level #16] Pod 간 서비스 디스커버리 문제 해결 및 네트워크 디버깅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Pod 간 네트워크 통신이 원활하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습니다.이 글에서는 Pod 간 서비스 디스커버리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디버깅 방법을 활용하여 통신 문제를 분석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Pod 간 네트워크 통신 문제 해결 및 ClusterIP 서비스 활용 2. DNS 기반 서비스 디스커버리 오류 해결 3. kubectl 및 네트워크 디버깅 도구를 활용한 트러블슈팅 방법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Pod 간 네트워크 통신 문제 해결 및 ClusterIP 서비스 활용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개의 Pod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Medium Level #7] 쿠버네티스에서 발생하는 DNS 문제 해결 및 최적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는 Pod 간 통신 및 외부 서비스 연결을 위해 DNS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그러나 네트워크 설정 오류, CoreDNS 문제, 서비스 디스커버리 실패 등으로 인해 DNS 관련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쿠버네티스에서 발생하는 DNS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과 최적화 전략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CoreDNS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문제 해결 방법 2. Pod에서 내부 서비스 이름을 조회할 수 없는 경우 해결 방법 3. 외부 서비스(FQDN)로의 네트워크 연결이 실패하는 경우 해결 방법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CoreDNS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문제..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Low Level #15] 네트워크 디버깅을 위한 기본적인 쿠버네티스 명령어 활용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연결 문제는 애플리케이션 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Pod 간 통신 문제, DNS 오류, 외부 서비스 연결 실패 등을 해결하기 위해 쿠버네티스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디버깅 명령어를 활용해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kubectl 및 네트워크 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문제를 분석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kubectl exec 및 nslookup을 활용한 DNS 문제 해결 2. kubectl port-forward를 활용한 외부 서비스 연결 문제 진단 3. kubectl debug 및 네트워크 도구를 활용한 Pod 간 통신 확인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명령어 예제와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kubectl..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Low Level #12] kubectl 및 kubectl debug를 활용한 문제 해결 기법

쿠버네티스 운영 중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거나, 컨테이너 내에서 디버깅이 필요할 때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합니다.이를 위해 kubectl과 kubectl debug를 활용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kubectl describe 및 logs를 활용한 기본적인 문제 진단 2. kubectl exec 및 port-forward를 활용한 실시간 디버깅 3. kubectl debug를 활용한 컨테이너 디버깅 및 네트워크 문제 해결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kubectl describe 및 logs를 활용한 기본적인 문제 진단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특정 Pod이 실행..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Low Level #3] Service 및 Ingress를 활용한 외부 트래픽 라우팅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 노출하려면 Service와 Ingress를 올바르게 설정해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유형의 Service를 활용하여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방법과, Ingress를 이용한 도메인 기반 라우팅 적용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를 이용한 트래픽 노출 방법 2. Ingress를 활용하여 도메인 기반 라우팅 적용 3. Ingress TLS 설정을 통한 HTTPS 적용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를 이용한 트..

[Scenario Playbook Ep.13] 🚀 Ingress 편 #2 | TLS 인증서 적용 및 보안 설정

쿠버네티스에서 Ingress는 외부 트래픽을 내부 서비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Ingress 리소스에 TLS 인증서를 적용하여 HTTPS를 활성화하는 방법과 보안 강화를 위한 설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Ingress에 TLS 인증서를 적용하여 HTTPS 활성화2️⃣ Ingress 보안 강화 (Redirect, CORS, Rate Limit 설정)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Ingress에 TLS 인증서를 적용하여 HTTPS 활성화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Ingress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에 HTTPS를 적용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생겼습니다.클라이언트가 HTTP가 아닌 HTTPS를 통해..

[Scenario Playbook Ep.12] 🚀 Ingress 편 #1 | 기본적인 Ingress 설정

쿠버네티스에서 Ingress는 외부 트래픽을 클러스터 내부의 서비스로 라우팅하는 핵심 요소입니다.이번 글에서는 Ingress 리소스를 활용하여 특정 도메인 기반의 트래픽을 내부 서비스로 연결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기본적인 Ingress 리소스 설정2️⃣ 여러 서비스로 트래픽을 분배하는 Ingress 규칙 적용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기본적인 Ingress 리소스 설정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도메인 기반으로 트래픽을 특정 서비스로 라우팅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생겼습니다.기본적으로 Ingress를 활용하여 외부에서 example.com으로 접근하면 내부의 웹 서비스로 연결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