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dential 2

📘 [MinIO & Cilium 기반 오브젝트 스토리지 연동 시리즈 #15] Secret volumeMount vs env 비교 및 보안 설계 전략

✅ 목표: Kubernetes에서 Secret을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할 때 사용하는env 방식과 volumeMount 방식의 차이점을 정리하고,보안 설계 전략 관점에서 어떤 방식이 적합한지 실습을 통해 비교합니다.🔎 이번 글에서 수행할 작업 요약Secret 전달 방식 종류(env, volumeMount) 정리각각의 방식으로 MinIO 인증 정보 주입 실습보안, 편의성, 자동화 측면에서의 장단점 비교실제 환경에서의 설계 가이드 정리🧠 1단계: Secret 전달 방식 개념 정리 전달 방식 설명 장점 단점 env환경 변수로 주입간편, 코드 수정 불필요환경 변수 노출 가능성 있음volumeMount파일로 마운트파일 접근 제어 가능, 자동 회전 대응코드가 파일 참조해야 함✅ 민감 정보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

📘 [MinIO & Cilium 기반 오브젝트 스토리지 연동 시리즈 #13] Kubernetes Secret으로 MinIO AccessKey 안전하게 전달하기

✅ 목표: 민감한 자격 증명을 환경 변수로 직접 전달하지 않고,Kubernetes의 Secret을 활용해 MinIO AccessKey/SecretKey를 안전하게 파드에 주입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이번 글에서 수행할 작업 요약AccessKey/SecretKey를 Kubernetes Secret으로 생성파드에 Secret을 환경 변수 또는 volume으로 마운트환경 변수 기반 Spark 실행 테스트보안 측면에서의 이점 확인🔐 1단계: MinIO 자격 증명용 Secret 생성이 단계의 목적: AccessKey와 SecretKey를 kubectl 명령으로base64 인코딩 없이 Kubernetes Opaque Secret으로 생성합니다.kubectl create secret generic minio-c..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