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31

EP11 | Python 심화 개념 #5 | 모듈과 패키지 관리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에서는 모듈(Module)과 패키지(Package) 개념을 활용하여 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학습합니다.모듈(Module)이란? (import 사용법)내장 모듈(Built-in Module)과 사용자 정의 모듈패키지(Package)와 __init__.py의 역할가상 환경(Virtual Environment)과 pip를 활용한 패키지 관리1️⃣ 모듈(Module)이란?모듈(Module)은 Python 코드가 작성된 파일을 의미하며, 다른 Python 파일에서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파일 확장자는 .py이며, import를 사용하여 모듈을 불러옵니다.🔹 모듈 불러오기 (import)Python에서 제공하는 내장 모듈을 import하..

EP10 | Python 심화 개념 #4 | 예외 처리와 로깅 (Logging & Exception Handling)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에서 예외(Exception) 처리는 프로그램이 예상치 못한 오류로 인해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또한, **로깅(Logging)**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동작을 추적하고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학습합니다.예외 처리(try-except-finally)의 개념과 사용법예외 발생(raise) 및 사용자 정의 예외로깅(logging 모듈)의 기본 사용법로깅 레벨과 로그 파일 저장 방법1️⃣ 예외 처리 (Exception Handling) 기초🔹 기본 예외 처리 (try-except)Python에서는 try-except 블록을 사용하여 예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try: x = 10 / 0 # ZeroDivisionError 발생e..

EP09 | Python 심화 개념 #3 | 정규표현식(Regex)과 문자열 처리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에서 **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 Regex)**은 문자열을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처리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학습합니다.정규표현식(Regex)의 기본 개념과 사용법Python의 re 모듈 활용주요 정규표현식 패턴 (. * + ? ^ $ 등)문자열 찾기, 변경, 추출하는 방법1️⃣ 정규표현식(Regex)란?정규표현식은 특정 패턴을 가진 문자열을 검색하고 조작하는 데 사용됩니다.📌 정규표현식 활용 예시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우편번호 등 패턴 검증특정 단어 찾기 및 교체로그 파일에서 특정 패턴 검색Python에서는 re 모듈을 사용하여 정규표현식을 다룰 수 있습니다.import retext = "Hello, my email is..

EP08 | Python 심화 개념 #2 | 파일 입출력 (CSV, JSON, YAML 다루기)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에서는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읽고 쓰는 기능을 제공합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학습합니다.파일 입출력(File I/O) 기초텍스트 파일 읽기/쓰기 (.txt)CSV 파일 다루기 (.csv)JSON 파일 다루기 (.json)YAML 파일 다루기 (.yaml)1️⃣ 텍스트 파일 입출력 (.txt)🔹 파일 쓰기 (write)open() 함수를 사용하여 파일을 생성하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일 쓰기 (w: 덮어쓰기 모드)with open("example.txt", "w") as f: f.write("Hello, Python!\n") f.write("파일 입출력을 배워봅시다.")print("파일이 성공적으로 저장되었습니다.")📌 파일 모드 종류"w"..

EP07 | Python 심화 개념 #1 | 이터레이터와 제너레이터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에서 **이터레이터(Iterator)와 제너레이터(Generator)**는 효율적인 반복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내용을 학습합니다.이터레이터(Iterator)의 개념과 사용법이터러블(Iterable) 객체와 iter(), next() 함수제너레이터(Generator)의 개념과 yield 키워드이터레이터와 제너레이터의 차이점과 활용 방법1️⃣ 이터러블(Iterable)과 이터레이터(Iterator)란?🔹 이터러블(Iterable)이터러블은 반복 가능한 객체이며, for 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대표적인 이터러블 객체: 리스트, 튜플, 문자열, 딕셔너리, 세트numbers = [1, 2, 3, 4]for num in numbers: # 리스트..

EP06 | Python 클래스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OP)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개념을 학습합니다.클래스(Class)와 객체(Object)의 개념생성자와 인스턴스 변수메서드와 self 키워드클래스 변수 vs 인스턴스 변수상속(Inheritance)과 메서드 오버라이딩1️⃣ 클래스(Class)와 객체(Object)란?Python에서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 틀(Template)**이며, 객체는 클래스에서 생성된 개별 인스턴스입니다.# 클래스 정의class Person: pass # 아직 내용이 없음# 객체 생성p1 = Person()p2 = Person()print(type(p1)) # 📌 클래스와 객체 특징클래스는 설계도, 객체는 실제 인스턴스같은 클래스..

EP05 | Python 함수와 스코프 (Global, Local, Lambda 함수)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에서 **함수(Function)**는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쉽게 해주는 중요한 개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다음 개념을 다룹니다.함수의 정의 및 호출 방법함수의 매개변수 (인수)와 반환값변수의 유효 범위(Scope) - Local, Global, Nonlocal익명 함수(Lambda)와 활용 방법1️⃣ 함수(Function) 기초Python에서 함수는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합니다.# 함수 정의def greet(name): return f"Hello, {name}!"# 함수 호출print(greet("Alice")) # Hello, Alice!📌 함수의 기본 구조def 함수이름(매개변수): → 함수 선언return 값 → 함수 결과 반환 (없으면..

EP04 | Python 자료구조 #2 | 딕셔너리와 집합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의 자료구조 중 **딕셔너리(Dictionary)와 집합(Set)**을 학습합니다.딕셔너리: 키-값(Key-Value) 쌍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집합: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는 자료구조딕셔너리와 집합의 기본 사용법 및 주요 메서드실전 문제를 통해 딕셔너리와 집합을 활용하는 방법 익히기1️⃣ 딕셔너리(Dictionary) 기초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 쌍을 저장하는 자료구조입니다.중괄호 {}를 사용하여 생성하며, 각 키는 유일해야 합니다.# 딕셔너리 선언student = {"name": "Alice", "age": 25, "grade": "A"}# 값 접근print(student["name"]) # Aliceprint(student["age"]) ..

EP03 | Python 자료구조 #1 | 리스트와 튜플

이 글에서 다루는 개념Python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구조인 **리스트(List)와 튜플(Tuple)**의 특징과 차이점을 배웁니다.리스트: 순서가 있고 변경 가능한(mutable) 자료구조튜플: 순서가 있지만 변경 불가능한(immutable) 자료구조리스트와 튜플의 기본 사용법 및 주요 메서드리스트와 튜플을 활용한 실용적인 예제1️⃣ 리스트(List) 기초리스트는 Python에서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며, 변경이 가능(mutable)합니다.리스트는 [ ] 대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리스트 선언fruits = ["apple", "banana", "cherry"]# 리스트 요소 접근 (인덱스 사용)print(fruits[0]) # appleprint(fruits[-1]) ..

EP02 | Python 제어문 (조건문, 반복문)

1️⃣ 조건문 (if, elif, else)조건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코드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x = 10if x > 0: print("양수입니다.")elif x 📌 조건문 특징if 뒤에는 조건식이 들어가며, 참(True)이면 해당 블록이 실행됨elif(선택 사항): 추가 조건을 검사할 때 사용else(선택 사항): 위 조건이 모두 거짓일 경우 실행됨🔹 비교 연산자 & 논리 연산자 활용if 조건문에서는 다양한 연산자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age = 25if age >= 20 and age   연산자 설명  예제 and두 조건이 모두 참이면 참(True and False) → Falseor하나라도 참이면 참(True or False) → Truenot논리 반전not Tru..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