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정책 2

📘 [MinIO & Cilium 기반 오브젝트 스토리지 연동 시리즈 #14] MinIO 삭제 요청 차단/제한 정책 구성 실습

✅ 목표: Cilium의 L7 네트워크 정책을 활용하여,HTTP DELETE 요청을 차단하거나 특정 파드에서만 허용하는 보안 정책을 구성하고 실습합니다.🔎 이번 글에서 수행할 작업 요약MinIO 객체 삭제 요청의 위험성과 차단 필요성 이해Cilium L7 HTTP 정책을 활용한 DELETE 차단 구성허용된 파드와 차단된 파드 비교 테스트Hubble을 통해 정책 효과 시각화⚠️ 1단계: MinIO 객체 삭제 요청의 위험성이 단계의 목적: API 요청 중 DELETE 메서드가 미치는 영향과실무 환경에서 어떻게 잘못 사용될 수 있는지를 이해합니다.DELETE 요청은 버킷 또는 객체를 영구 삭제함버전 관리가 비활성화된 버킷은 복구 불가능잘못된 설정 시 누구나 curl로 DELETE 가능☑️ 이 때문에 네트워크..

📌 [DaemonSet 심화편 #12] DaemonSet Pod에 Host PID/IPC/UTS 네임스페이스 공유 설정하기

1️⃣ 개요DaemonSet은 각 노드에 하나씩 Pod을 배포하기 때문에, 시스템 수준의 정보를 수집하거나 네임스페이스를 직접 공유해야 하는 경우에 유리합니다.이때 Pod의 네임스페이스 격리 기능을 해제하고, 호스트 네임스페이스(PID, IPC, UTS)를 공유하면노드 상의 프로세스, 네트워크, 호스트 이름 등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DaemonSet Pod에서 hostPID, hostIPC, hostUTS 설정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공유받는 방법을 정리합니다.2️⃣ Host 네임스페이스 공유란? 항목  설명 hostPID: true노드의 프로세스 ID 네임스페이스를 공유 (다른 프로세스 목록 접근 가능)hostIPC: true노드의 IPC(프로세스 간 통신) 네임스페이스 공유hostUTS..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