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78

📌 [StatefulSet 심화편 #22] StatefulSet에서 Rolling Update와 Canary Deployment 적용하기

1️⃣ 개요 StatefulSet을 운영할 때, 애플리케이션을 무중단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은 중요한 도전 과제입니다.특히,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브로커와 같은 Stateful 애플리케이션은 업데이트 시 데이터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배포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에서 Rolling Update를 활용하여 점진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과, Canary Deployment를 통해 새로운 버전을 점진적으로 도입하는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에서 Rolling Update가 필요한 이유 📌 Rolling Update가 필요한 주요 이유상황설명무중단 배포 필요Stateful 애플리케이션을 중단 없이 점진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함데이터 정합성 유지Pod가 하나씩 ..

📌 [StatefulSet 심화편 #20] StatefulSet에서 Pod 재배치 및 특정 노드에 고정하는 방법

1️⃣ 개요 StatefulSet에서 특정 Pod를 특정 노드에 배치하거나, 특정 노드에서 강제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특히, 노드 장애 발생 시 Pod를 안전하게 재배치하거나, 고성능 스토리지가 있는 노드에 특정 StatefulSet Pod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의 Pod를 특정 노드에 배치하거나 이동하는 다양한 방법과 실전 활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 Pod 재배치 및 고정이 필요한 이유 📌 StatefulSet Pod 배치를 조정해야 하는 주요 상황상황설명노드 장애 발생특정 노드 장애 시, 다른 노드로 Pod를 이동해야 함고성능 스토리지 연결특정 Pod를 SSD가 있는 노드에서 실행해야 함지리적 분산 배포특정 노드 그..

📌 [StatefulSet 심화편 #19] StatefulSet에서 PVC 크기 동적 조정 (볼륨 확장 방법)

1️⃣ 개요 StatefulSet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Persistent Volume(PV)의 크기를 확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Kubernetes의 PVC는 생성 이후 크기를 변경할 수 없지만, StorageClass의 동적 프로비저닝 기능을 활용하면 PVC 크기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에서 PVC 크기를 동적으로 확장하는 방법과, 이를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에서 PVC 크기를 확장해야 하는 이유 📌 PVC 크기 확장이 필요한 주요 상황상황설명데이터베이스 용량 증가MySQL, PostgreSQL, MongoDB 등에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증가로그 저장소 증가..

📌 [StatefulSet 심화편 #18] StatefulSet에서 Sharding(샤딩) 적용 방법

1️⃣ 개요 StatefulSet을 사용하여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단순한 리더-팔로워(Replica) 방식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특히,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높은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는 경우 Sharding(샤딩) 기법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에서 Sharding을 적용하는 방법과, 데이터베이스(MongoDB, Elasticsearch, Kafka) 및 분산 시스템에서의 샤딩 활용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Sharding(샤딩)이란? 📌 Sharding(샤딩)의 개념Sharding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작은 단위(Shard)로 나누어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입니다.이를 통해 수평 확장(Scalability) 이 가능해지고, 대규모 데이터베..

📌 [StatefulSet 심화편 #17] StatefulSet에서 Read Replica(읽기 전용 복제본) 구성하기

1️⃣ 개요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할 때, 읽기 부하(Read Load)를 분산하는 것은 성능 최적화의 핵심 요소입니다.StatefulSet을 활용하면 읽기 전용 복제본(Read Replica)을 손쉽게 구성하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을 활용하여 MySQL, PostgreSQL, MongoDB에서 Read Replica를 구성하는 방법과 운영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Read Replica(읽기 복제본)의 개념과 필요성 Read Replica는 데이터베이스의 읽기 요청을 처리하는 노드로, 리더(Primary) 노드의 부하를 줄이고 성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 Read Replica 활용 이유이유설명읽기 성능 향상다중 노드에서 읽기 요청..

📌 [StatefulSet 심화편 #16] StatefulSet을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운영 (MySQL, PostgreSQL, MongoDB)

1️⃣ 개요 StatefulSet은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해야 하는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MySQL, PostgreSQL, MongoDB 등) 운영에 필수적인 리소스입니다.그러나, 단순히 StatefulSet을 배포하는 것만으로는 데이터 복제(Replication), 리더 선출(Leader Election), 장애 복구(Failover) 와 같은 중요한 기능을 제대로 운영할 수 없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운영하는 방법과 주요 고려 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을 활용한 주요 데이터베이스 유형 및 특징 StatefulSet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를 운영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각 데이터베이스는 클러스터 아키텍처 및 복..

📌 [StatefulSet 심화편 #15] StatefulSet의 다중 클러스터 배포 전략

1️⃣ 개요 StatefulSet을 운영할 때 하나의 Kubernetes 클러스터 내에서만 배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재해 복구(DR), 글로벌 서비스 확장, 트래픽 분산 등의 이유로 다중 클러스터 환경에서 StatefulSet을 배포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을 다중 클러스터에 배포하는 전략과, 데이터 동기화 및 네트워크 고려 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 🚀 2️⃣ 다중 클러스터에서 StatefulSet을 배포해야 하는 이유 📌 다중 클러스터 환경에서 StatefulSet이 필요한 주요 이유상황설명재해 복구(DR)한 클러스터가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클러스터에서 서비스 유지글로벌 서비스 확장여러 지역(Region)에서 트래픽을 분산하여 레이턴시 감소고가용성(HA) 운영특..

📌 [StatefulSet 심화편 #14] StatefulSet과 동적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활용법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StatefulSet을 사용할 때 Persistent Volume(PV)을 수동으로 생성하는 것은 운영상의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StorageClass를 활용한 동적 프로비저닝(Dynamic Provisioning)을 적용하면, PVC가 요청될 때 자동으로 PV가 생성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에서 동적 스토리지 프로비저닝을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에서 동적 프로비저닝이 필요한 이유 📌 동적 프로비저닝이 필요한 이유문제점기존 방식 (수동 PV 생성)동적 프로비저닝 활용 시 장점운영 부담관리자가 직접 PV를 생성해야 함PVC 요청 시 자동으로 PV 할당유연성 부족사전..

📌 [StatefulSet 심화편 #13] ReadWriteOnce(RWO) vs ReadWriteMany(RWX) 스토리지 모드 비교 및 활용 전략

1️⃣ 개요 StatefulSet을 운영할 때 Persistent Volume(PV)의 접근 모드(Access Mode)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결정 요소입니다.특히, ReadWriteOnce(RWO)와 ReadWriteMany(RWX)의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스토리지 정책을 선택하는 것이 StatefulSet 운영의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WO와 RWX의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StatefulSet에서 올바르게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2️⃣ RWO vs RWX: 개념 및 차이점 쿠버네티스 Persistent Volume(PV)은 Access Mode(접근 모드) 를 통해 Pod가 볼륨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결정합니다.StatefulSet을 운영할 때 주..

📌 [StatefulSet 심화편 #12] StatefulSet의 Persistent Volume 재생성 및 복원 전략

1️⃣ 개요 StatefulSet에서 Persistent Volume(PV)은 데이터 저장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하지만 스토리지 장애, 클러스터 재구성, PV 손상 등의 이유로 PVC를 다시 생성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에서 PV를 재생성하는 방법과, 데이터 손실 없이 복원하는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 PVC 삭제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1. PVC가 삭제되면 Pod는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음 StatefulSet은 PVC와 연결된 상태로 동작하기 때문에, PVC가 손실되면 해당 Pod는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습니다.PVC가 존재하지 않으면 Pod는 Pending 상태로 멈추며, 새로운 PV를 자동으로 생성하지 않..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