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_pod 4

📌 [Pod 심화편 #4] Pod의 장애 복구 및 자동 재시작 전략

1️⃣ 개요 쿠버네티스를 운영하다 보면 Pod가 예상치 못하게 종료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특히, 애플리케이션 오류, 네트워크 장애, 노드 장애 등의 원인으로 인해 Pod가 다운되면 서비스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는 Pod의 장애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여러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활용하면 서비스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Pod 장애 유형과 원인, 해결 방법을 표로 정리하고, 자동 복구 전략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2️⃣ Pod 장애 유형과 해결 방법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Pod 장애는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원인과 해결 방법을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 Pod 장애 ..

📌 [Pod 심화편 #3] Pod의 네트워크 문제와 디버깅 방법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Pod 간 네트워크 통신은 기본적으로 자동 설정되지만, 실무에서는 네트워크 연결 불가, DNS 문제, 외부 접근 실패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od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더라도 내부 서비스 간 통신이 되지 않거나, 외부에서 접근이 차단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네트워크 문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원인을 제대로 분석하지 않으면 해결이 어렵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od 간 네트워크 통신 구조를 이해하고, 실제 운영 환경에서 발생하는 주요 네트워크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 2️⃣ Pod 간 네트워크 통신 원리 쿠버네티스에서 Pod는 각각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며, 기본적으로 모든 Pod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됩니다..

📌 [Pod 심화편 #2] Pod의 리소스 관리와 OOM(Out of Memory) 문제 해결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Pod의 리소스 관리는 원활한 운영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단순히 Pod를 배포하는 것만으로 끝이 아니라, 적절한 CPU와 메모리 설정을 하지 않으면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OOM(Out of Memory) 오류로 인해 컨테이너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실무에서는 리소스를 효과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적절한 요청(requests)과 제한(limits) 값을 설정하지 않으면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해칠 수도 있습니다. 저 역시 처음 쿠버네티스를 운영할 때, Pod가 정상적으로 배포되었지만 예상치 못한 OOM 오류로 서비스가 중단되는 경험을 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Pod의 CPU 및 메모리 관리 원리와 OOM 오류의 원인과 해결 방법..

📌 [Pod 심화편 #1] Pod의 생성과 스케줄링 원리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Pod는 가장 기본적인 배포 단위입니다. 단순히 Pod를 생성하는 것은 쉬워 보일 수 있지만, 다양한 문제로 인해 Pod가 원하는 대로 배포되지 않거나 Pending 상태에서 멈추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됩니다. 특히, 리소스 부족, 스케줄링 오류, 네트워크 정책 문제 등의 이유로 Pod 배포가 실패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Pod가 배포되는 과정과 스케줄링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Pod가 생성되고 스케줄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자주 발생하는 스케줄링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2️⃣ Pod가 생성되는 과정 (스케줄링 원리) 쿠버네티스에서 Pod가 생성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과정을 이해하면 스케줄링 문제 발생 시 어디에서 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