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licaSet 14

📌 [DaemonSet 심화편 #24] DaemonSet의 ReplicaSet과의 차이점 분석: 운영 구조와 스케줄링 비교

1️⃣ 개요Kubernetes에서 Pod을 배포하는 대표적인 리소스로는 ReplicaSet과 DaemonSet이 있습니다.둘 다 여러 개의 Pod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지만, Pod의 배포 방식과 목적은 완전히 다릅니다.이 글에서는 DaemonSet과 ReplicaSet의 개념적 차이, 스케줄링 방식, 운영 목적의 차이점을 비교하여둘 중 어떤 리소스를 선택해야 하는지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2️⃣ 역할 차이 요약 항목 DaemonSet ReplicaSet Pod 수 조절 방식노드 수에 따라 자동 결정 (1개/노드)수동으로 .spec.replicas 수 지정배포 대상클러스터의 모든 노드 (혹은 특정 조건의 노드)스케줄링 가능한 노드 중 임의 선택목적노드 기반 작업 (모니터링, 로그 수집 ..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Low Level #2] ReplicaSet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가용성 보장 및 롤링 업데이트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보장하려면, Pod이 항상 원하는 개수만큼 실행되고 유지되어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ReplicaSet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유지하고, 롤링 업데이트를 적용하여 무중단 배포를 수행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ReplicaSet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 유지 2. Pod이 삭제되었을 때 자동으로 복구되도록 설정 3. 롤링 업데이트를 적용하여 무중단 배포 수행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ReplicaSet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 유지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항상 3개의 Pod으로 실행되도록 유지해야 합니다.특정 Pod이 장애로 인..

📌 [Deployment 심화편 #2] Deployment의 동작 원리와 트러블슈팅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Deployment는 Pod의 개수를 유지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무중단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핵심 리소스입니다.하지만 실무에서는 Deployment가 예상과 다르게 동작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새로운 버전 배포 시 Pod가 갱신되지 않는 문제 • 롤백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 • Deployment가 관리하는 ReplicaSet이 예상보다 많거나 적은 문제 이번 글에서는 Deployment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 2️⃣ Deployment의 동작 원리 ✅ 1. Deployment의 기본 구성 요소 Deployment는 Pod를 직접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ReplicaSet을 ..

📌 [Deployment 심화편 #1] Deployment의 역할과 실무 활용 방법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Deployment(디플로이먼트) 는 애플리케이션을 선언적으로 배포하고 관리하는 주요 리소스입니다.Deployment를 활용하면 Pod 개수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버전 업데이트 및 롤백(Rollback) 등의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Deployment의 핵심 개념과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 2️⃣ Deployment란? ✅ Deployment의 주요 기능 기능설명Pod 개수 유지지정한 개수만큼 Pod가 항상 실행되도록 보장버전 업데이트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배포 가능롤백 지원문제가 발생하면 이전 버전으로 쉽게 복구 가능Rolling Update 지원기존 Pod를 점진적으로 교체하여 무중단 배포 가능✅ Deployment는 내부적으로 Re..

📌 [ReplicaSet 심화편 #9] ReplicaSet과 Node Selector: 특정 노드에 Pod 배포 전략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은 기본적으로 리소스가 충분한 노드에 자동으로 Pod를 배치합니다.하지만 특정 노드에서만 실행해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을 경우, Node Selector를 사용하여 원하는 노드에서만 Pod가 배포되도록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Taints & Tolerations과 다르게, 특정 노드에서만 실행되도록 강제하는 방식으로 활용됩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Node Selector를 활용한 특정 노드 배포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Node Selector란? Node Selector는 특정 노드에서만 Pod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한하는 방법입니다. • 노드에 특정 라벨을 부여한 후, 해당 라벨을 가진 노드에서만 실행되도록 Pod를 제..

📌 [ReplicaSet 심화편 #8] ReplicaSet과 Taints & Tolerations: 특정 노드에 Pod 배포 제어

1️⃣ 개요 ReplicaSet은 기본적으로 리소스가 충분한 노드에 자동으로 Pod를 배치하지만, 특정 노드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만 실행되도록 제어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고성능 GPU가 장착된 노드에서만 특정 워크로드를 실행하거나, 일반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노드에서 실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포 전략을 적용하려면 Taints & Tolerations을 활용하면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Taints & Tolerations을 활용한 노드 제어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Taints & Tolerations란? ✅ 1. Taints (노드에 적용하는 제한 정책) • 특정 노드에서 일반적인 Pod가 실행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 ..

📌 [ReplicaSet 심화편 #7] ReplicaSet과 Anti-Affinity: 특정 노드 간 분산 배포 전략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은 기본적으로 리소스가 충분한 노드에 자동으로 Pod를 배치합니다.그러나 모든 Pod가 특정 노드에 집중되면, 해당 노드가 장애를 일으킬 경우 서비스 전체가 중단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od 간 분산 배포(Anti-Affinity) 전략을 활용하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Pod가 서로 다른 노드에 배포되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Anti-Affinity를 활용한 분산 배포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Anti-Affinity란? ✅ Affinity vs Anti-Affinity 쿠버네티스에서는 Pod 배치 정책을 정의하는 Affinity(선호 배치) 및 Anti-Affinity(분산 배치) 기능을 제공..

📌 [ReplicaSet 심화편 #6] ReplicaSet과 Cluster Autoscaler: 노드 자동 확장과 리소스 최적화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은 Pod의 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지만, 클러스터의 리소스가 부족하면 새로운 Pod를 실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ReplicaSet이 5개의 Pod를 실행하려 해도 노드의 CPU나 메모리가 부족하면 일부 Pod가 Pending 상태로 멈추게 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luster Autoscaler를 활용하면 자동으로 노드를 확장하여 Pod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Cluster Autoscaler를 활용하여 리소스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2️⃣ Cluster Autoscaler란? ✅ Cluster Autoscaler의 역할 Cluster Autos..

📌 [ReplicaSet 심화편 #5] ReplicaSet과 RollingUpdate 전략을 활용한 배포 관리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동안 새로운 버전으로 배포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하지만 Pod를 한 번에 전부 삭제하고 새롭게 생성하면 서비스 단절(다운타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olling Update(롤링 업데이트) 전략을 사용하면, 기존 Pod를 점진적으로 교체하면서 무중단 배포가 가능합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Deployment의 Rolling Update 전략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2️⃣ Rolling Update란? ✅ Rolling Update의 개념 • 기존 Pod를 점진적으로 새로운 버전의 Pod로 교체 • 한 번에 일부 Pod만 교체하고, 새로운 Pod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면 나머지를 교체 •..

📌 [ReplicaSet 심화편 #4] ReplicaSet과 PodDisruptionBudget(PDB)을 활용한 안정적인 운영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ReplicaSet은 Pod의 개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운영 환경에서는 노드 업데이트, 유지보수, 장애 발생 등으로 인해 Pod가 예기치 않게 종료될 수 있습니다. 이때 모든 Pod가 동시에 종료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PodDisruptionBudget(PDB)**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plicaSet과 PDB를 함께 사용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2️⃣ PodDisruptionBudget(PDB) 개념 PDB는 특정 서비스의 Pod 개수가 일정 개수 이하로 줄어들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입니다.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처럼 항상 2개 이상의 Pod가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