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A 14

[Istio 가이드 ep.39] 6부 트러블슈팅 #4 | 네트워크 성능 문제 해결

🔹 개요이번 글에서는 Istio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Istio는 서비스 메시 기능을 제공하지만, 잘못된 설정 또는 과도한 네트워크 부하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특히 높은 레이턴시(Latency), 패킷 손실(Packet Loss), 요청 타임아웃(Request Timeout)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네트워크 성능 문제의 주요 원인, 디버깅 방법 및 해결책을 설명하겠습니다.🔹 1. Istio 네트워크 성능 저하 원인  문제 유형 설명 높은 레이턴시 (Latency 증가)과도한 트래픽 필터링, 잘못된 설정으로 인해 응답 시간이 증가패킷 손실 (Packet Loss)네트워크 혼잡 또는 Envoy Proxy의 리소스 부족으로..

[Istio 가이드 ep.29] 4부 모니터링 #5 | Istio 메트릭 기반 자동 스케일링 (HPA)

🔹 개요이번 글에서는 Istio의 메트릭을 활용하여 Kubernetes의 HPA(Horizontal Pod Autoscaler)를 설정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Istio는 서비스 메시 내부의 트래픽 데이터 및 성능 지표를 Prometheus를 통해 수집하며,이 데이터를 활용하면 Pod의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Scaling)하는 HPA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Istio 메트릭을 활용한 HPA 설정 방법, 실전 예제 및 스케일링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1. Kubernetes HPA(Horizontal Pod Autoscaler)란?✅ 1.1 HPA 개념HPA(Horizontal Pod Autoscaler)는 Kubernetes에서 Pod의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확장(Scale-out..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High Level #4]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성능 최적화 및 리소스 사용량 튜닝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운영할 때, 리소스 사용량을 최적화하고 성능을 튜닝하는 것은 클러스터 안정성과 운영 비용 절감에 중요한 요소입니다.이 글에서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노드 및 Pod의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성능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리소스 요청(Request) 및 제한(Limit) 설정을 통한 클러스터 안정성 향상 2. Horizontal Pod Autoscaler(HPA) 및 Vertical Pod Autoscaler(VPA)를 활용한 동적 리소스 최적화 3. kubectl 및 모니터링 도구(Prometheus, Metrics Server)를 활용한 성능 분석 및 리소스 튜닝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Medium Level #8] HPA 및 Cluster Autoscaler 연동을 통한 동적 확장

쿠버네티스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부하가 증가할 때, 자동으로 리소스를 확장하여 서비스 안정성을 유지해야 합니다.이를 위해 HPA(Horizontal Pod Autoscaler)와 Cluster Autoscaler를 연동하여 Pod 및 노드 수준에서 자동 확장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HPA를 활용한 Pod 자동 확장 설정 2. Cluster Autoscaler와 HPA를 연동하여 리소스 최적화 3. kubectl을 활용한 HPA 및 Cluster Autoscaler 작동 상태 모니터링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HPA를 활용한 Pod 자동 확장 설정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트래픽 증가 시 Pod이 자..

[Scenario Playbook - 심화편 | Low Level #7] Horizontal Pod Autoscaler(HPA) 설정 및 활용 방법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부하가 증가할 때 자동으로 Pod 개수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를 위해 Horizontal Pod Autoscaler(HPA)를 활용하여 CPU 및 메모리 사용량을 기준으로 동적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HPA를 활용한 CPU 기반 자동 확장 설정 2. HPA를 활용한 메모리 기반 자동 확장 설정 3. HPA의 동작 방식 및 리소스 활용 최적화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HPA를 활용한 CPU 기반 자동 확장 설정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애플리케이션의 CPU 부하가 증가할 경우, Pod의 개수를 자동으로 확장해야 합니다.CPU 사용률이 50%를 초과하면 ..

[Scenario Playbook Ep.30] 🚀 HPA 편 #3 | HPA와 Cluster Autoscaler 연동

쿠버네티스에서 HorizontalPodAutoscaler(HPA)는 Pod의 개수를 자동으로 조절하지만, 클러스터 내 리소스가 부족하면 확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Cluster Autoscaler를 연동하면, 필요한 경우 노드를 자동으로 추가하여 확장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HPA와 Cluster Autoscaler를 함께 설정하여 원활한 확장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HPA 적용 후 노드 리소스 부족 시 확장 문제 발생2️⃣ Cluster Autoscaler 연동을 통한 자동 노드 확장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HPA 적용 후 노드 리소스 부족 시..

[Scenario Playbook Ep.29] 🚀 HPA 편 #2 | 메모리 및 사용자 정의 메트릭 기반 확장

쿠버네티스의 HorizontalPodAutoscaler(HPA)는 CPU뿐만 아니라 메모리 및 사용자 정의 메트릭을 기반으로도 확장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메모리 사용량을 기반으로 HPA를 설정하는 방법과 사용자 정의 메트릭(Custom Metrics)으로 확장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메모리 사용량을 기반으로 자동 확장2️⃣ 사용자 정의 메트릭(Custom Metrics) 기반 확장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메모리 사용량을 기반으로 자동 확장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CPU 사용량이 아니라 메모리 사용량을 기준으로 HPA를 설정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생겼습니다.애플리케이션이 메모리를 많이 사..

[Scenario Playbook Ep.28] 🚀 HPA 편 #1 | 기본적인 HPA 설정 및 CPU 기반 자동 확장

쿠버네티스에서 HorizontalPodAutoscaler(HPA)는 애플리케이션의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Pod 개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이번 글에서는 기본적인 HPA 설정 방법과 CPU 사용량을 기반으로 Pod을 자동 확장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기본적인 HPA 설정 및 적용2️⃣ CPU 사용량을 기반으로 자동 확장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기본적인 HPA 설정 및 적용 ❓ 문제 상황 운영팀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부하가 증가할 경우 Pod 개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필요합니다.기본적으로 Pod의 개수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CPU 사용량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확장되도록 설정해..

📌 [StatefulSet 심화편 #21] StatefulSet과 Horizontal Pod Autoscaler(HPA) 적용 방법

1️⃣ 개요 StatefulSet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태를 유지하는 애플리케이션(예: 데이터베이스, 메시지 브로커 등)에 사용됩니다.그러나, 트래픽 증가 시 Pod 개수를 자동으로 조정해야 하는 경우에도 StatefulSet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에 Horizontal Pod Autoscaler(HPA)를 적용하는 방법과,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을 설명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에서 HPA가 필요한 이유 📌 StatefulSet에서 HPA가 필요한 주요 이유상황설명트래픽 급증API 서버, 캐시 서버(예: Redis) 등에서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 대응CPU/메모리 부하 증가일정 수준 이상의 리소스 사용량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Pod 개수 ..

[Scenario Playbook Ep.8] 🚀 Deployment 편 #3 | AutoScaling 및 장애 대응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는 트래픽을 자동으로 처리하고, 장애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는 방법은 필수적입니다.이번 글에서는 Horizontal Pod Autoscaler(HPA)와 Pod 장애 감지를 위한 Liveness & Readiness Probe 설정 방법을 다룹니다. 📌 글에서 다루는 상황들 1️⃣ Horizontal Pod Autoscaler(HPA) 적용2️⃣ Liveness & Readiness Probe 설정 각 문제를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Manifest 템플릿과 예상 결과 값을 제공합니다. 1️⃣ Horizontal Pod Autoscaler(HPA) 적용 📍 상황 설명 운영팀에서 트래픽이 증가할 때 자동으로 Pod 개수를 확장하여 처리량을 유지하도록 설정하려 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