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_스토리지 3

📌 [StatefulSet 심화편 #19] StatefulSet에서 PVC 크기 동적 조정 (볼륨 확장 방법)

1️⃣ 개요 StatefulSet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가 증가함에 따라 Persistent Volume(PV)의 크기를 확장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Kubernetes의 PVC는 생성 이후 크기를 변경할 수 없지만, StorageClass의 동적 프로비저닝 기능을 활용하면 PVC 크기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에서 PVC 크기를 동적으로 확장하는 방법과, 이를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에서 PVC 크기를 확장해야 하는 이유 📌 PVC 크기 확장이 필요한 주요 상황상황설명데이터베이스 용량 증가MySQL, PostgreSQL, MongoDB 등에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증가로그 저장소 증가..

📌 [StatefulSet 심화편 #14] StatefulSet과 동적 스토리지 프로비저닝 활용법

1️⃣ 개요 쿠버네티스에서 StatefulSet을 사용할 때 Persistent Volume(PV)을 수동으로 생성하는 것은 운영상의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StorageClass를 활용한 동적 프로비저닝(Dynamic Provisioning)을 적용하면, PVC가 요청될 때 자동으로 PV가 생성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StatefulSet에서 동적 스토리지 프로비저닝을 설정하는 방법과,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설명하겠습니다. 🚀 2️⃣ StatefulSet에서 동적 프로비저닝이 필요한 이유 📌 동적 프로비저닝이 필요한 이유문제점기존 방식 (수동 PV 생성)동적 프로비저닝 활용 시 장점운영 부담관리자가 직접 PV를 생성해야 함PVC 요청 시 자동으로 PV 할당유연성 부족사전..

📌 [StatefulSet 심화편 #13] ReadWriteOnce(RWO) vs ReadWriteMany(RWX) 스토리지 모드 비교 및 활용 전략

1️⃣ 개요 StatefulSet을 운영할 때 Persistent Volume(PV)의 접근 모드(Access Mode)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결정 요소입니다.특히, ReadWriteOnce(RWO)와 ReadWriteMany(RWX)의 차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스토리지 정책을 선택하는 것이 StatefulSet 운영의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WO와 RWX의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StatefulSet에서 올바르게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2️⃣ RWO vs RWX: 개념 및 차이점 쿠버네티스 Persistent Volume(PV)은 Access Mode(접근 모드) 를 통해 Pod가 볼륨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결정합니다.StatefulSet을 운영할 때 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