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Kubernetes에서 API Gateway가 필요한 이유?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는 여러 서비스가 API를 통해 통신합니다.
이때 API Gateway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운영을 더욱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 API Gateway의 주요 역할
✔ 라우팅(Routing) → 클라이언트 요청을 적절한 백엔드 서비스로 전달
✔ 트래픽 제어(Traffic Control) → 로드 밸런싱, API Rate Limiting 적용
✔ 보안(Security) → 인증, 인가, JWT 검증, WAF(Web Application Firewall) 기능 지원
✔ Observability → API 요청 로깅 및 모니터링 제공
이 글에서는 Kubernetes에서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API Gateway인 Istio, Kong, Nginx를 비교하고, 각각의 사용 사례를 살펴봅니다.
2️⃣ Kubernetes에서 API Gateway 선택 기준
📌 Kubernetes 환경에서 API Gateway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비교 항목IstioKongNginx
설치 복잡도 | 복잡함 (Service Mesh 포함) | 중간 (Helm 지원) | 간단함 |
트래픽 관리 | 강력한 트래픽 관리 기능 | API Rate Limiting 제공 | 기본적인 로드 밸런싱 |
보안 기능 | JWT 인증, mTLS 지원 | 인증 플러그인 제공 | TLS 지원, WAF 가능 |
모니터링 및 로깅 | OpenTelemetry, Jaeger 연동 | Prometheus, Grafana 지원 | 기본적인 로그 제공 |
사용 사례 |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운영 | API Gateway 중심의 트래픽 관리 | 간단한 API 로드 밸런싱 |
✅ Istio는 서비스 메시(Service Mesh) 운영이 필요한 경우 적합
✅ Kong은 API Gateway 중심의 트래픽 관리가 필요한 경우 적합
✅ Nginx는 간단한 API 로드 밸런싱 및 보안 기능이 필요한 경우 적합
3️⃣ Istio를 활용한 API Gateway 운영
📌 Istio는 서비스 메시 기능을 제공하는 API Gateway로, Kubernetes 클러스터 내 서비스 간 통신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Step 1: Istio 설치 (Helm 사용)
📌 Istio를 Helm을 사용하여 설치합니다.
helm repo add istio https://istio-release.storage.googleapis.com/charts
helm repo update
helm install istio-base istio/base -n istio-system --create-namespace
helm install istiod istio/istiod -n istio-system
📌 설치 확인
kubectl get pods -n istio-system
✅ Istio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
✅ Step 2: Ingress Gateway 설정
📌 Istio Ingress Gateway를 설정하여 외부 트래픽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istio-gateway.yaml
apiVersion: networking.istio.io/v1alpha3
kind: Gateway
metadata:
name: my-gateway
namespace: default
spec:
selector:
istio: ingressgateway # Istio Ingress Gateway 선택
servers:
- port:
number: 80
name: http
protocol: HTTP
hosts:
- "myapp.example.com" # API Gateway를 통해 접근할 도메인
📌 적용 명령어
kubectl apply -f istio-gateway.yaml
✅ Istio를 사용하여 API Gateway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됨!
4️⃣ Kong을 활용한 API Gateway 운영
📌 Kong은 API 관리 기능이 포함된 API Gateway로, Rate Limiting, JWT 인증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 Step 1: Kong 설치 (Helm 사용)
📌 Kong을 Helm을 사용하여 설치합니다.
helm repo add kong https://charts.konghq.com
helm repo update
helm install kong kong/kong --set ingressController.enabled=true --namespace kong --create-namespace
📌 설치 확인
kubectl get pods -n kong
✅ Kong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
✅ Step 2: Kong Ingress 설정
📌 Kong Ingress를 설정하여 API 요청을 특정 서비스로 라우팅합니다.
📌 kong-ingress.yaml
apiVersion: networking.k8s.io/v1
kind: Ingress
metadata:
name: my-ingress
namespace: default
annotations:
konghq.com/strip-path: "true" # API 경로를 자동으로 정리
spec:
ingressClassName: kong # Kong을 Ingress Controller로 사용
rules:
- host: api.example.com # API Gateway 도메인
http:
paths:
- path: /service1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service1
port:
number: 80
📌 적용 명령어
kubectl apply -f kong-ingress.yaml
✅ Kong을 API Gateway로 활용하여 서비스 간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관리 가능!
5️⃣ Nginx를 활용한 API Gateway 운영
📌 Nginx는 간단한 API 로드 밸런싱 및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경량 API Gateway입니다.
✅ Step 1: Nginx Ingress Controller 설치
📌 Helm을 사용하여 Nginx Ingress Controller를 설치합니다.
helm repo add ingress-nginx https://kubernetes.github.io/ingress-nginx
helm repo update
helm install nginx ingress-nginx/ingress-nginx
📌 설치 확인
kubectl get pods -n default
✅ Nginx Ingress Controller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
✅ Step 2: Nginx Ingress 설정
📌 Nginx Ingress를 사용하여 특정 API 요청을 서비스로 라우팅합니다.
📌 nginx-ingress.yaml
apiVersion: networking.k8s.io/v1
kind: Ingress
metadata:
name: nginx-ingress
namespace: default
spec:
ingressClassName: nginx # Nginx Ingress Controller 사용
rules:
- host: api.example.com # API Gateway 도메인
http:
paths:
- path: /app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my-app
port:
number: 80
📌 적용 명령어
kubectl apply -f nginx-ingress.yaml
✅ Nginx를 사용하여 간단한 API Gateway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 결론: Kubernetes API Gateway 비교 요약
✔ Istio → 서비스 메시 환경에서 API Gateway 기능이 필요한 경우
✔ Kong → 강력한 API 관리 기능과 확장성이 필요한 경우
✔ Nginx → 간단한 API 라우팅 및 보안 기능이 필요한 경우
🔥 적절한 API Gateway를 선택하여 Kubernetes 환경에서 더욱 효율적인 API 트래픽을 관리하세요! 🚀
'Kubernetes > Kubernetes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ubernetes 클러스터 성능 튜닝: 리소스 최적화 및 네트워크 개선 (0) | 2025.03.04 |
---|---|
📌 Kubernetes에서 서버리스(Serverless) 운영: Knative & OpenFaaS 비교 (0) | 2025.03.04 |
📌 Kubernetes에서 Observability 구축: OpenTelemetry, Jaeger 사용법 (0) | 2025.03.04 |
📌 Kubernetes CI/CD 파이프라인 최적화 (GitHub Actions, ArgoCD 심화) (0) | 2025.03.04 |
📌 Kubernetes Helm 활용: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배포 전략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