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Python을 다루기 위해서는 기본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변수, 자료형, 연산자에 대해 정리합니다.
1️⃣ 변수 (Variables)
Python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별도의 타입 지정 없이 변수명 = 값 형식으로 할당합니다.
# 변수 선언
name = "Alice" # 문자열
age = 25 # 정수
height = 168.5 # 실수
is_student = True # 논리값
# 변수 출력
print(name, age, height, is_student)
📌 Python 변수 특징
-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 → 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자동으로 자료형이 결정됨
-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으며, _(언더스코어)를 사용할 수 있음
- snake_case(예: user_name) 스타일을 주로 사용
2️⃣ 자료형 (Data Types)
Python의 주요 자료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료형 예제 설명
int | 10, -5, 0 | 정수형 |
float | 3.14, -0.5 | 실수형 |
str | "hello", 'Python' | 문자열 |
bool | True, False | 논리값 |
list | [1, 2, 3] | 리스트 (변경 가능) |
tuple | (1, 2, 3) | 튜플 (변경 불가능) |
dict | {"name": "Alice", "age": 25} | 딕셔너리 (키-값 쌍) |
set | {1, 2, 3} | 집합 (중복 제거) |
📌 자료형 변환 (Type Casting)
num = "123" # 문자열
num_int = int(num) # 정수 변환
num_float = float(num) # 실수 변환
print(num_int, num_float) # 123 123.0
3️⃣ 연산자 (Operators)
🔹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기본적인 수학 연산을 수행합니다.
연산자 설명 예제
+ | 덧셈 | 5 + 3 → 8 |
- | 뺄셈 | 10 - 7 → 3 |
* | 곱셈 | 4 * 5 → 20 |
/ | 나눗셈 | 10 / 3 → 3.333 |
// | 몫 | 10 // 3 → 3 |
% | 나머지 | 10 % 3 → 1 |
** | 거듭제곱 | 2 ** 3 → 8 |
a, b = 10, 3
print(a + b, a - b, a * b, a / b, a // b, a % b, a ** b)
🔹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논리값(True 또는 False)을 반환합니다.
연산자 설명 예제
== | 같음 | 5 == 5 → True |
!= | 다름 | 5 != 3 → True |
> | 크다 | 5 > 3 → True |
< | 작다 | 2 < 3 → True |
>= | 크거나 같다 | 5 >= 5 → True |
<= | 작거나 같다 | 3 <= 4 → True |
print(5 == 5, 5 != 3, 5 > 3, 2 < 3, 5 >= 5, 3 <= 4)
🔹 논리 연산자
논리 연산자는 and, or, not을 사용합니다.
x, y = True, False
print(x and y, x or y, not x)
📌 실전 문제: Python 기본 문법 체득하기
다음 문제를 풀어보면서 앞서 배운 내용을 직접 적용해 봅시다.
✅ 문제 1: 변수를 선언하고 출력하기
📌 다음 변수를 선언하고, print()를 사용해 출력하세요.
- name 변수에 "Alice"
- age 변수에 25
- height 변수에 168.5
- is_student 변수에 True
# 🔽 여기에 코드 작성
name = "Alice"
age = 25
height = 168.5
is_student = True
print(name, age, height, is_student)
✅ 문제 2: 자료형 변환 (Type Casting)
📌 다음 변환을 수행하세요.
- 문자열 "123"을 정수로 변환하여 num_int 변수에 저장
- 문자열 "123.45"를 실수로 변환하여 num_float 변수에 저장
- 정수 1을 논리형(bool)으로 변환하여 is_true 변수에 저장
# 🔽 여기에 코드 작성
num_str = "123"
num_float_str = "123.45"
num_int = int(num_str)
num_float = float(num_float_str)
is_true = bool(1)
print(num_int, num_float, is_true) # 123 123.45 True
✅ 문제 3: 연산자 실습
📌 다음 연산을 수행하세요.
- a = 20, b = 7이 주어졌을 때,
- 나눗셈 (/)
- 몫 (//)
- 나머지 (%)
- 거듭제곱 (**)
# 🔽 여기에 코드 작성
a, b = 20, 7
print(a / b) # 2.857
print(a // b) # 2
print(a % b) # 6
print(a ** b) # 128000000
✅ 문제 4: if 조건문을 활용한 숫자 판별
📌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아 양수, 음수, 0을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 🔽 여기에 코드 작성
num =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
if num > 0:
print("양수입니다.")
elif num < 0:
print("음수입니다.")
else:
print("0입니다.")
728x90
'Data Engineer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06 | Python 클래스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OP) (0) | 2025.03.19 |
---|---|
EP05 | Python 함수와 스코프 (Global, Local, Lambda 함수) (0) | 2025.03.19 |
EP04 | Python 자료구조 #2 | 딕셔너리와 집합 (0) | 2025.03.19 |
EP03 | Python 자료구조 #1 | 리스트와 튜플 (0) | 2025.03.19 |
EP02 | Python 제어문 (조건문, 반복문) (0) | 2025.03.19 |